본문 바로가기
영화

영화 [애드 아스트라] 줄거리, 심리적 분석, 결론

by 실버드림 2024. 4. 11.
반응형

우주비행복을 입은 브래드 피트의 모습이 담긴 영화 포스터

 

줄거리

 

영화는 인류의 우주 탐사기술이 발전한 가까운 미래를 배경으로 한다. 인류는 달과 화성을 식민지화 하는 것에 성공했고 우주여행은 비행기를 타는 것만큼이나 보편화되었다. 브래드 피트가 연기한 로이 맥브라이드는 전문 우주비행사로, 그의 아버지는 유명한 우주탐험가이자 국가적 영웅인 클리포드 맥브라이드이다. 어느 날 로이는 대기권의 안테나 타워에서 근무를 하다가 '서지현상'으로 불리는 거대한 파장으로 인해 추락하는 사고를 겪는다. 회복 후 사령부의 호출을 받은 그는 서지현상의 뒤에 실종된 줄 알았던 그의 아버지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얘기를 듣고 아버지를 찾고 서지현상을 막으라는 명령을 전달받는다. 아버지에게로 향하는 과정 속에서 로이는 여러 차례 위협과 갈등을 겪게 되고 임무 뒤에 숨겨진 어두운 사실이 있다는 것을 알아차린다. 아버지를 찾겠다는 일념으로 많은 위험을 감수하는 여정 속에서 그는 인간 본성의 어두운 측면과 우주라는 공간의 위험성을 직면하면서 갈등을 겪는다. 그의 여행은 그가 미지의 불안한 환경을 탐색하고 그의 결의와 결단력을 시험하는 예상치 못한 장애물들을 처리하면서 이성의 가장자리로 그를 데려간다. 놀라운 영상과 감정을 자극하는 이야기로, '애드 아스트라'는 정체성, 절연성, 거대함 속에서 진정한 삶의 의미를 찾는다는 주제를 가지고 있다. 로이 맥브라이드는 아버지의 혐의에 대한 비밀을 풀고 진실에 맞서면서, 결국 그가 추구하는 삶의 의미가 그가 상상했던 것보다 자신의 근처에서 찾을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면서 영화는 끝이 난다.

 

 

심리적 분석

 

영화 '애드 아스트라'는 제임스 그레이 감독이 제작한 SF 드라마로 우주 탐험을 소재로 한 작품 중 하나이다. 이 영화는 과학적 탐험과 미래적 상상력을 결합하여 우주 탐험의 본질과 인간의 본성을 탐구한다. 특히 주인공 로이 맥브라이드의 심리적 여정을 통해 우주 탐험이 인간의 내면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살펴볼 수 있다.

1. 우주 탐험과 외로움의 연관성

'애드 아스트라'에서 주인공 로이 맥브라이드는 그의 심리적 고립과 외로움에 맞서는 인물이다. 우주 탐험의 특성상 가족과 이별하고, 지구와의 거리로 인해 점점 더 고립되고 외로워지고, 이로 인해 탐험과 현실 사이의 균형을 찾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외로움은 우주 비행의 고립성과 함께 주인공의 심리적 상태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설정은 실제로 우주 탐험의 낭만적인 측면에 덜 초점을 맞추고 고독과 연결성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보여준다.

2. 무한한 욕망과 고통

또한 '애드 아스트라'는 인간의 무한한 욕망과 그로 인한 고통에 대한 탐구를 통해 심리적 측면을 강조한다. 주인공 로이 맥브라이드는 우주 탐험의 목적과 자신의 내면 사이의 부조화에 직면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자신의 무한한 욕망과 고통에 사로잡히게 된다. 이 고통은 우주 탐험을 실제로 내면으로 바라보게 하며, 우리가 어디에서 왔고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에 대한 깊은 의문을 제기한다. 이 고통은 주인공의 성장과 변화를 이끄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3. 탐험과 자기 발견의 과정

결국 '애드 아스트라'는 탐험과 자기 발견의 과정을 통해 주인공의 내면 심리를 탐구한다. 주인공인 로이 맥브라이드는 우주여행을 떠나 자신의 내면을 탐구하고, 그의 상처와 고통을 이해하며, 이를 극복하고자 한다. 이는 우주를 탐사하는 과정이 단순히 외부 세계를 탐구하는 것을 넘어 내면을 들여다보고 깨달음을 통해 더 깊은 의미를 변화시키는 과정임을 시사한다.

 

 

결론

 

'애드 아스트라'는 우주 탐험에 관한 영화이지만 인간의 심리적 여정과 내면의 탐구에 대한 깊은 이해를 담고 있다. 주인공 로이 맥브라이드의 심리적 고립과 욕망과 고통, 자기 발견의 과정을 통해 우주 탐험이 인간의 본성을 어떻게 형성하고 변화시키는지 탐구할 수 있다. 이러한 주제는 우주 탐험이 단순한 탐험을 넘어 우리의 내면과 연결되는 깊은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