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

영화 [인시디어스] 음향 효과와 예상치 못한 장면으로 극대화 되는 공포

by 실버드림 2024. 5. 12.
반응형

영화 포스터

 

소름 끼치는 음향 효과

 

영화의 음악은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인시디어스'의 음악은 주로 어두운, 불안한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저음과 높은 음계를 조합하여 사용된다. 특히, 장면의 긴장감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긴장감을 유발하는 음악이 많이 사용된다. 또한, 영화의 공포 요소들과 관련된 장면에서 들리는 빠른 현악기 소리는 관객들의 놀라움을 더욱 증폭시키고 온몸에 소름이 끼치게 만든다. '인시디어스'는 조용한 장면 사이에 사용되는 음향 효과를 통해 긴장감을 높이는 데 주목한다. 이 영화는 공포 요소들과 긴장감이 높은 장면들 사이에 진행되는 조용한 장면들을 사용하여 관객들의 긴장감을 유지시킨다. 이러한 조용한 장면에서 사용되는 음향 효과들은 관객들의 예상을 더욱 어렵게 만들어 예상치 못한 공포 요소들의 출현을 강조하는 효과를 가진다.

 

 

신선한 스토리

 

영화는 단순한 공포 요소에 그치지 않고, 예측 불가능한 전개로 관객을 끌어들인다. 이야기는 한 가정에서 벌어지는 일상적인 사건으로 시작하지만, 점차적으로 초자연적인 현상과 공포의 세계로 전환된다. 영화의 초반 이야기는 사람이나 집이 약령에 빙의된 것 같은 흔한 스토리로 생각되기 쉽지만, 사실은 오래전 발생했던 미스터리한 사건들과 알 수 없는 공포스러운 존재가 과거에서부터 따라왔다는 설정이다. 또 한 가지 독특한 설정은 주요 사건들이 주인공들이 사는 집과 현실세계에서만 일어나지 않고, 이승과 저승의 경계를 오가며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런 스토리는 미스터리한 분위기 속으로 더 깊이 파고들어 간다. 숨어있던 비밀과 과거의 악몽이 해결되지 않은 채 드러나면서, 관객은 예상치 못한 전개에 더욱 놀랍게 된다. 영화는 단순히 점령당한 집이라는 전통적인 공포 요소에 그치지 않고, 초자연적인 존재들과 이에 대한 깊은 미스터리를 다루면서 끊임없는 긴장감을 조성한다. 관객은 일상적인 장면들 사이에서도 예상하지 못한 공포의 순간에 마주치게 되며, 이는 영화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더욱 어둡고 소름 끼치게 만든다.

 

 

예상치 못한 공포장면들

 

개인적으로 공포영화를 좋아하고 많이 봐왔지만, 그럼에도 이 영화가 공포 영화 중에서 기억에 남는 이유는 공포 장면들이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연출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공포 영화에서 등장하는 악령이나 귀신의 모습은 어느 정도 예측 가능한데, 이 영화는 전혀 예상하지 못한 모습으로 등장하는 장면들 탓에 더 놀라고 무섭게 느껴졌던 듯하다. 가장 많이 공포감을 느꼈던 장면 중 두 가지를 뽑았다.

먼저 주인공 가족 중 달튼을 노리는 악의 존재는 악령보다는 악마에 가까운 모습을 하고 있다. 손가락은 칼처럼 길고 날카롭고 온 몸은 완전히 검은색으로 뒤덮여 있는 모습은 실루엣 만으로도 보는 사람을 긴장되고 소름 끼치게 만든다. 영화에서 조쉬와 르네, 그리고 조쉬의 엄마가 함께 등장해 달튼에 대해 이야기하는 장면에서 조쉬의 얼굴 바로 뒤에 악마의 얼굴이 갑작스럽게 나오는 장면이 등장한다. 전혀 예상치 못한 타이밍에 등장하는 악마의 얼굴은 새빨갛고 입이 찟어질 듯이 웃고 있는데 개인적으로 '인시디어스'에서 가장 무섭게 놀랐던 장면이었다.

또 무섭게 느껴졌던 장면은, 조쉬가 아들을 찾기 위해 저승의 세계로 가서 만난 소름 끼치는 가족의 모습이다. 영화에서 조쉬가 저승 세계에서 헤매던 중 마주친 한 가족은 조쉬의 존재를 인식하지도 않고 움직이지도 않는다. 하지만 그들의 표정은 모두 하나 같이 눈을 크게 뜨고 입은 크게 웃고 있는 모습이다. 일반적인 사람이 절대 보여줄 수 없는 표정이라는 느낌이 들어 더욱 이질적으로 느껴졌고 극단적인 조명 대비와 어두운 분위기 탓에 더욱 공포스러웠다.

이 외에도 '인시디어스'에는 어릴 때부터 조쉬를 따라다니는 귀신과 집안을 뛰어다니는 어린아이 유령 등 예상할 수 없는 공포요소가 자주 등장한다. 이러한 요소 때문에 영화를 감상할 때는 몰아치는 공포에 긴장감을 놓을 수 없어 힘들지만, 그것이 영화를 더욱 무서운 영화로 만들고 관객들에게 온몸이 저릿한 긴장감과 압박감을 전달하는 설정이라 할 수 있다.

반응형